글 작성자: Eco 디바이스 IT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는 학교에서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부터 스마트싱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저는 삼성 스마트싱스 제품군들 이외의 제품들과 그리고 오픈소스를 활용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스마트홈 그리고 IoT 사물인터넷 분야에 관심이 많아 스마트싱스에 관심이 많은 학생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삼성 갤럭시와 함께하는 스마트홈의 시작, 삼성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저는 스마트싱스 허브 V3 유저로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도 관심을 가지게 되어 2023년 갤럭시 S23 울트라를 사전예약하여 사은품으로 받았습니다. 겟또!!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언빡씽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패키징은 기존 스마트싱스 제품들과는 다르게 재미있는 멘트가 있었는데 삼성 악세사리 제품처럼 깔끔하게 바뀌었습니다.

 

그럼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언빡싱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패키징은 이전 세대인 스마트싱스 허브와는 다르게 얇고 슬림하고 깔끔한 느낌입니다.

 

후면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대표적인 기능들과 지원하는 프로토콜 그리고 안드로이드 OS와 IOS 모두 지원하니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갤럭시 스토어 그리고 App Store 등을 통해 스마트싱스 앱을 설치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Matter, Zigbee,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지원합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패키징은 정말 깔끔하네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구성품은 스테이션 본체, 25W용 어댑터와 C to C 케이블 그리고 간단 사용 설명서 구성입니다. 이전 세대에는 안정성을 위해 LAN 케이블을 제공해준적이 있는데..

이번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랜선이 사라진게 아쉽습니다.

 

 

 


스마트홈의 시작 알아두기!

Matter

 

이번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IoT 구축을 위하여 불리는 프로토콜 방식을 불리고 있는 IoT 허브입니다. IoT 제품들은 제조사나 기기마다 사용하는 통신 언어가 있습니다. Zigbee, Z - Wave, WiFi & 블루투스 그리고 Thread 네트워크 통신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Thread는 가장 최근에 등장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개선된 보안 방식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중에서 Matter는 기본적으로 Thread 네트워크 통신을 사용합니다.

Matter는 IoT 장치를 위한 통합 오픈 소스 연결 표준으로 다양한 생태계의 스마트 기기와 플랫폼이 함께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제공합니다.

 
Source: tp-link

 

이어 2019년, 4개의 IoT 대기업인 애플, 아마존, 구글, 삼성 SmartThings 및 글로벌 표준 연합(CSA, 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 이전 Zigbee Alliance)을 통해 출시했으며, 2021년에 ‘Matter’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 것입니다.

Source: tp-link

 
Source: Linkdln - Packet Tracer

 

 

위 사진은 제가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실습을 할 때 교육용으로 Cisco에서 제공한 Packet Tracer 입니다.

위 사진의 내용을 통하여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또는 허브가 필요한 이유를 쉽게 알 수가 있는데요. 앞서 언급한 IoT 기기만의 통신 언어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source: dusuniot

 

이 언어를 기기마다 허브를 거쳐 데이터화하여 클라우드를 거치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속도에 있어 많은 단점이 있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들 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IoT의 시작은 스마트 허브라고 불리는 이유도 이러한 계기가 된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디자인

살펴보기

 

새롭게 리뉴얼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디자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블랙과 화이트 색상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저는 블랙 색상으로 선택했는데 정말 잘 선택한거 같습니다. 무광 블랙 색상은 깔끔하네요.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둥근 정사각형 형태의 작은 허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스마트싱스 허브와 달리 포트의 구성이 많이 단촐해졌습니다. USB-C 포트만 지원하여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구성품에서도 랜선을 제공해주지 않은 이유를 알겠더라고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기존 허브와는 차별화된 스마트 허브 경험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허브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 최대 15W 고속 무선충전을 지원하며 스마트 버튼도 지원합니다.

 

위 사진은 스마트싱스 스마트 버튼입니다. 눈치 채셨다시피 스테이션의 버튼 기능은 스마트싱스 버튼의 기능을 그대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와 무선충전 기능을 지원하다보니 통풍구와 함께 팬(Fan)이 보이네요. 그리고 초기화 버튼이 있습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등록하기 feat.SmartThings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스마트싱스 앱으로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쉽게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싱스 앱에서 기기 추가를 통해 QR을 통해 쉽게 등록할 수 있어요!

 

QR 만 찍으면 바로 인식하는 스마트싱스만의 클라쑤우 ~

 

환영하면서 스마트싱스에 등록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스테이션에서 등록이 완료되는 아래의 파란 LED로 연결 상태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윗쪽은 무선 충전 여부에 따라 불이 들어오는 방식입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기능은 스마트 허브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대부분 지원합니다. 스마트 버튼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스마트 버튼을 2번 누르면 등록한 스마트폰의 벨소리를 울려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는 저에겐 아주 편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눌렀을 때 동작을 지정할 수 있는 루틴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저는 여가 시간에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으로 루틴을 지정하여 게이밍 겜성을 위하여 스마트싱스를 지원하는 별도의 조명을 구매하여 버튼을 누르거나 루틴 조건에 맞게 세팅하여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등록한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무선충전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충전중에는 상단에 있는 LED가 활성화됩니다. 충전중일 땐 빨간색, 충전이 완료되면 초록색으로 바뀌더라고요.

 

무선충전중 약간의 아쉬운 점은 갤럭시 스마트폰의 경우, 카메라를 살짝 걸쳐야 충전이 잘 되더라고요.. 카메라에 걸치지 않고 평평하게는 무선충전 코일에 위치와 맞지 않아서인지 충전이 안되더라고요.. ㅠㅠ

 

제가 갖고 있는 갤럭시 S24 울트라도 그렇고.. 폴드SE도 그렇고.. 카툭튀가 심하다보니.. 옆에서 봤을 때 약간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갤럭시 버즈 시리즈도 무선 충전 아주 잘 됩니다. 갤럭시 워치류들은 Qi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으로 충전이 불가하다는 점은 참고하심 되겠습니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마무리

 

오늘은 뒤늦게 잠자고 있던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함께 언빡씽하면서 함께 IoT의 기초도 함께 소개해봤습니다. 어떠셨나요? 앞으로 스마트홈 입문의 시작중인 저는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으로 다양한 시행착오들을 통하여 많은 부분들을 경험하며 소개해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마트싱스 제품들을 단순 객관적으로 학교 프로젝트용으로만 두었던 것들을, 지금이라도 스마트싱스와 함께 다재다능한 자동화 일상을 누리며 그러한 경험들을 함께 공유하며 나아가는 갤럭시 유저가 되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잘못된 정보나 오차로 기입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다음 컨텐츠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728x90
반응형